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C#
- BOJ
- C++
- dotenv
- VUE
- scss
- vuetify
- type
- vue.js
- git
- 보안
- webpack
- nginx
- bash
- machine learning
- var
- JavaScript
- Clone
- generic
- condition
- npm
- TypeScript
- security
- 앙상블
- property
- loop
- docker
- leetcode
- Python
- AI
Archives
- Today
- Total
ice rabbit programming
[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 개요 및 기초 본문
요즘에는 NoSQL도 많이 쓰이지만, 전통적으로 RDBM은 굉장히 많이 쓰였고, 현실 세계를 반영하기에도 좋다. 이번에 SQL 강좌를 수강하면서 내용들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row와 column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테이블의 관계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
각각의 테이블들이 있고, 이들이 관계를 가지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다. 학생-과목-교사 등이 관계를 가지는 학생 관리 DB 등을 예시로 들 수 있겠다.
같은 관계형 DB라도 DBMS에 따라 SQL 문법이 다르다. MySQL, MS-SQL, Oracle 등 다른 DBMS에서 공통되는 문법도 존재하지만 다른 문법, 기능도 존재하기 때문에 반드시 해당하는 DBMS의 명령어를 잘 알아보고 사용해야 한다.
( select version() 명령어를 통해 현재 SQL의 버전을 알 수 있다.)
database는 create DDL로 만들 수 있다.
create database if not exists mydb; -- mydb 라는 이름의 DB가 없다면 생성
show databases; -- 현재 존재하는 DB목록 조회
use mydb; -- 사용할 DB 바꾸기
select database() -- 사용 중인 DB 조회
테이블 : row와 column의 값을 이용해 정렬된 데이터 집합
테이블은 단어 그대로 표와 같다. 하나의 항목이 row이고, row의 속성이 column이다.
이름 | 학번 | 학과 |
KDH | 12142020 | 정보통신공학과 |
이런 테이블을 만드는 것은 create DDL로 만들 수 있다.
create table (
number int,
name varchar(10),
)
위와 같이 column명과 자료형을 지정해준다. 이후에 테이블에 항목을 넣고 싶다면 insert DML을 사용한다.
( * DDL은 테이블 자체를 조작, DML은 테이블 내의 항목을 조작한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글에서 다루겠다. )
insert into employee(name, age, height) values ("KDH", 26, 170.0);
select * from employee -- 모든 row 조회
'Development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관계, 외래키, alias, join (0) | 2020.06.28 |
---|---|
[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의 기초 2 - 자료형, 제약 조건 (0) | 202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