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ash
- dotenv
- C++
- loop
- property
- security
- 앙상블
- vue.js
- git
- leetcode
- BOJ
- condition
- JavaScript
- type
- Python
- webpack
- generic
- AI
- TypeScript
- nginx
- var
- machine learning
- scss
- VUE
- C#
- vuetify
- 보안
- Clone
- docker
- npm
- Today
- Total
목록2025/01 (2)
ice rabbit programming
지난 정규표현식 간단 정리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디자인 패턴에 관해 강의를 들으며 정리했던 필기를 정리하려고 합니다.약 4년 반 전에 포스팅했던 Typescript 강의를 듣고 정리했던 글과 비슷하겠네요.어느새 처음 입사한지 만 5년이 흐른 지금, 기존 코드도 나름 많이 읽었고 선배 및 동료 개발자들과 리뷰를 하면서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오기도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만...)C#, 파이썬과 Typescript를 거쳐서 현재는 C++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서 GoF 패턴을 C++ 강좌로 접할 기회가 있어 듣고 간략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대부분 한 번씩 사용해봤을 법한 패턴들입니다. 다만 패턴에 너무 매몰되지 않고 생산성과 현재 프로덕트가 처한 상황에 맞게 ..
개발을 할 때 종종 정규표현식을 사용할 일이 있습니다. 특정 패턴의 버전을 입력해야 하는 유효성 검사를 하거나, string으로 넘어온 인자들을 파싱할 때 등 여러 경우에 사용합니다.최근에는 언어에서 지원해주는 라이브러리들도 많고, 자주 쓰이는 패턴의 경우에는 검색하면 금방 나오기도 합니다.하지만 코딩과 마찬가지로 긁어서 가져다 쓰는 것만이 아니라 이해하고 활용하고, 수정하고 나아가서는 직접 만들 줄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아래는 근래에 정규표현식 관련해서 책을 읽으면서 나름대로 정리한 내용입니다.(근래라고는 썼지만 몇 달 되긴 했네요.)https://regexr.com/ 와 같은 곳에서 직접 만들고 테스트해볼 수도 있습니다.(혼자 정리용으로 필기한 글이라 최대한 가독성 좋게 수정하기는 했습니다만 잘..